해원상생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해원상생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210) N
    • 대순진리회 회보 (630) N
    • 언론속대순 (288) N
    • 좋은 글 (254)
    • 삶을 관조하다 (3)
    • 나의 사진첩 (5)
    • 일상 스케치 (11)
    • 여행 일기 (0)
    • 맛집여행 (7)
    • 이것저것 (2)
    • 건강상식 (9)

검색 레이어

해원상생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지식융합시대

  • 대순진리회 - 특별기고「이제는 상생이다」

    2023.03.25 by 벼리맘1

  • 대순진리회 - 특별기고 『이제는 상생이다』

    2023.03.15 by 벼리맘1

대순진리회 - 특별기고「이제는 상생이다」

3. 지식융합시대, 마음과 뇌의 연구 뇌 연구와 과학기술의 융합 글 - 이인식* 마음의 기능을 밝혀내기 위해 뇌 연구와 과학기술을 융합하는 학문이 출현하기 시작하였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의식의 과학, 계산신경과학, 신경공학을 꼽을 수 있다. ⊙ 의식의 신경과학적 근거 뇌 연구가 풀지 못한 최대 수수께끼의 하나는 의식(consciousness)이다. 의식은 주관적인 현상이기 때문에 오랫동안 객관성에 의존하는 과학의 연구대상이 되지 못했다. 그러나 일부 과학자들은 의식이 과학적으로 설명될 수 없다는 고정관념을 거부하고 의식의 수수께끼에 도전하기 시작했다. 의식을 과학의 영역으로 끌어들인 핵심 인물은 영국 태생의 물리학자인 프랜시스 크릭이다. 1953년 디옥시리보핵산(DNA) 분자의 구조가 이중나선임을 밝혀내..

대순진리회 회보 2023. 3. 25. 16:41

대순진리회 - 특별기고 『이제는 상생이다』

2. 지식융합시대, 마음과 뇌의 연구 뇌 연구와 인문사회학의 융합 글 - 이인식* 신경과학에 의해 마음의 물리적 기초가 밝혀지기 시작함에 따라 인문사회과학 분야에서 융합 학문이 태동하였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사회신경과학, 신경경제학, 신경마케팅, 신경신학, 신경윤리를 꼽을 수 있다. ⊙ 사회과학과 신경과학의 융합 인간의 사회적 인지 및 행동의 기초가 되는 생물학적 메커니즘을 탐구하기 위하여, 신경과학이 사회심리학과 융합하여 출현한 학제 간 연구는 사회신경과학(social neuroscience)이라 불린다. 사회신경과학은 2006년부터 미국에서 전문 학술지가 창간된 것을 계기로 하나의 독립된 학문의 모습을 갖추기 시작하였다. 인간의 사회생활과 뇌의 구조와의 관계를 연구하는 사회신경과학의 주제는 도덕적 행..

대순진리회 회보 2023. 3. 15. 15:09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해원상생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