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원상생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해원상생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205) N
    • 대순진리회 회보 (629) N
    • 언론속대순 (284)
    • 좋은 글 (254)
    • 삶을 관조하다 (3)
    • 나의 사진첩 (5)
    • 일상 스케치 (11)
    • 여행 일기 (0)
    • 맛집여행 (7)
    • 이것저것 (2)
    • 건강상식 (9)

검색 레이어

해원상생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독일

  • 대순진리회 - 『돋보기』

    2023.08.11 by 벼리맘1

  • 한나 아렌트가 말하는 악의 평범성 2

    2023.06.27 by 벼리맘1

  • 한나 아렌트가 말하는 악의 평범성 1

    2023.06.27 by 벼리맘1

  • 니체 철학 쉽게 이해하기 1

    2023.04.05 by 벼리맘1

대순진리회 - 『돋보기』

대순진리에 감화된 서양인, 프루너 박사 글 - 대순진리회 여주본부도장 교무부 1995년 입도한 후 얼마 되지 않은 어느 날 선각에게 이런 교화를 들었다. 독일에 프루너 박사라는 서양인이 있었습니다. 그는 기독교의 종말론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한 학자였습니다. 종말론에 의하면 세상이 종말할 시기에 하나님이 이 세상에 출현하시어 선과 악을 심판하시고 신천지를 연다고 합니다. 성경에는 하나님이 도둑처럼 몰래 오신다고 하였습니다. 프루너 박사는 당시의 어지러운 세상의 상황을 보고 절대자 하느님이 혹시 벌써 왔다 가신 것은 아닌지 의문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전 세계의 종교를 살펴보고 연구해보기로 하였습니다. 서양의 종교 상황에 대해 잘 알고 있었던 그는 하느님이 오셨다면 서양이 아닌 동양으로 오셨을 것이라고 생각하..

대순진리회 회보 2023. 8. 11. 14:09

한나 아렌트가 말하는 악의 평범성 2

아이히만은 1960년 5월 11일 이스라엘 정보기관인 모사드에 체포되어 압송되었다. 그렇다면 저자인 한나 아렌트의 삶은 어땠을까? 그 또한 아이히만과 마찬가지로 1906년 독일에서 태어났다. 하지만 이후의 삶은 아이히만과 크게 달랐다. 그가 '유대인'으로 태어났기 때문이다. 아렌트는 반항적인 청소년 시절을 거쳐 마르부르크 대학에 진학했고, 이곳에서 스승이자 연인인 마르틴 하이데거를 만나 사상적으로 짙은 영향을 받았다. 고통은 1933년 히틀러가 권력을 잡은 뒤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게슈타포에 체포되어 일주일 동안 감금되었다가 가까스로 풀려났고 프랑스로 망명하여 반나치 운동에 참여하던 중 이곳에 나치 독일의 괴뢰 정부가 들어서는 바람에 강제 수용소로 보내지기도 했다. 그는 필사의 탈출을 감행해, 마침내 ..

좋은 글 2023. 6. 27. 14:18

한나 아렌트가 말하는 악의 평범성 1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은 예루살렘에서 열린 아돌프 아이히만의 재판을 일종의 리포트 형식으로 정리한 책이다. 이 책이 쓰인 경위를 살펴보기 전, 이 책의 주인공이라고도 할 수 있는 아이히만의 삶을 되짚어보자. 1906년 독일에서 태어난 아이히만은 1932년 나치의 등장 수 나치당에 가입하여 친위대로 활동했다. 말단 신세를 벗어난 뒤 그가 하게 된 일은 유대인에 관련된 것이었고 특히 1938년부터는 유대인 강제 이주 정책의 책임자로 일하게 되었다. 유대인 강제 이주 정책은 유대인에 대한 차별과 학살 정책의 첫 번째 단계라고 할 수 있다. 나치는 우선 이들을 강제 이주하려고 했으나 해당 정책의 성과가 여의치 않자 유대인 거주 지역인 게토(ghetto)를 만들어 사람들을 몰아넣는 강제 격리, 유대인을 죽음의 수..

좋은 글 2023. 6. 27. 14:17

니체 철학 쉽게 이해하기 1

19세기 독일에서 활동한 프리드리히 니체의 별명은 '망치를 든 철학자'였다. 별명에 맞게 그는 근대의 서구 문화 전체를 전복하려고 했다. 니체가 진단한 유럽 사회는 병들고 건강하지 못했다. 병의 원인은 플라톤으로부터 시작하는 서구의 이성중심주의 철학과 예수 이후의 그리스도교 사상이었다. 특히 니체는 그리스도교 전통에 기반한 윤리관을 신랄하게 비판했다. 그는 이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 그리스도교와 대비되는 고대 그리스의 도덕관의 기원을 찾아 거슬러 올라갔다. 니체의 사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언어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좋음과 나쁨 그리고 선과 악을 구분해야 한다. 우리는 보통 이 어휘들을 섞어서 사용하는데 '좋음'과 '선'은 다르다. 예를 들어 명품 핸드백은 좋은 것이지만 선한 것은 아니다. 마..

좋은 글 2023. 4. 5. 15:14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해원상생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