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원상생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해원상생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296) N
    • 대순진리회 회보 (672) N
    • 언론속대순 (331)
    • 좋은 글 (254)
    • 삶을 관조하다 (3)
    • 나의 사진첩 (5)
    • 일상 스케치 (11)
    • 여행 일기 (0)
    • 맛집여행 (7)
    • 이것저것 (2)
    • 건강상식 (9)

검색 레이어

해원상생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파스칼

  • 진실을 보지 못하는 그들의 생각을 바꾸는 방법 7

    2023.11.21 by 벼리맘1

  • 진실을 보지 못하는 그들의 생각을 바꾸는 방법 6

    2023.11.21 by 벼리맘1

진실을 보지 못하는 그들의 생각을 바꾸는 방법 7

그것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경험으로 형성된 가정이며 시각 체계가 사실이어야 마땅하다고 여겨지는 무언가를 당신에게 제공하기 위해 한 거짓말이다. ​ 파스칼은 드레스 사진이 이와 동일한 현상이 드물게 일상적 상황에서 일어난 결과물이라고 생각했다. ​ 이 사진은 과다 노출로 찍힌 듯 배경이 하얗게 바래 보이고 이 때문에 드레스 색깔이 모호해졌다. ​ 그러자 사람들의 뇌는 '자신이 존재한다고 가정하는 광원의 효과를 감소시킴으로써' 그 모호함을 해소했으며 ​ 이 모든 과정은 자신도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일어났다. ​ 이 사진은 흐린 날 싸구려 휴대전화로 찍었으며 사진의 어떤 부분은 밝고 어떤 부분은 어둑하다. (···) ​ 파스칼은 사람들의 뇌가 조명의 모호함을 해소한 방식에 따라 뇌에서 인식한 색깔이 달랐던..

좋은 글 2023. 11. 21. 16:35

진실을 보지 못하는 그들의 생각을 바꾸는 방법 6

그런데 뇌는 거기서 더 나아간다. '상당한 불확실성'에 해당하는 상황을 만나면 뇌는 자신의 경험을 이용해 존재하지 않지만 '존재해야 마땅한 것'에 대한 환상을 만들어낸다. 다시 말해 새로운 상황을 만나면 뇌는 대개 자신이 보게 되리라고 예상하는 것을 본다. 신경과학자인 파스칼은 이런 현상이 색각色覺에서 뚜렷하게 확인된다고 설명했다. 우리는 스웨터가 어두운 옷장 안에 있는데도 초록색이라고 말하고 구름 낀 밤하늘 아래 있는 자동차를 파란색이라고 말한다. 이는 달라진 조명 조건이 익숙한 사물의 외양을 변화시키면 뇌가 스스로 사물의 색을 보정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조명이 달라지면 대상의 정체성을 보존하기 위해 광원의 효과를 감소시키고 색채 항등성을 확보하려고' 시각 체계를 재조정하는 보정 메커니즘을 갖추었다...

좋은 글 2023. 11. 21. 16:31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해원상생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