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원상생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해원상생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210) N
    • 대순진리회 회보 (630) N
    • 언론속대순 (288) N
    • 좋은 글 (254)
    • 삶을 관조하다 (3)
    • 나의 사진첩 (5)
    • 일상 스케치 (11)
    • 여행 일기 (0)
    • 맛집여행 (7)
    • 이것저것 (2)
    • 건강상식 (9)

검색 레이어

해원상생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이기적유전자

  • 리처드 도킨스가 말하는 이기적 유전자 2

    2023.03.13 by 벼리맘1

  • 리처드 도킨스가 말하는 이기적 유전자 1

    2023.03.12 by 벼리맘1

리처드 도킨스가 말하는 이기적 유전자 2

이기적 유전자 5장 요약 이어서 제5장부터는 이런 이론을 뒷받침하는 유전자의 실질적 행동 양식을 설명하고 있다. 제5장은 '진화적으로 안정된 전략 《ESS(Evolutionarily Stable Strategy)》'이라는 개념을 다룬다. 이 개념은 원래 영국의 진화 생물학자 존 메이너드 스미스가 주장한 것이다. 사자가 사자를 잡아먹지 않는 것은 자연의 섭리 때문이 아니라 그들에게 동족을 잡아먹는 것이 진화적으로 안정된 전략이 아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사자가 사자를 잡아먹으면 사자의 유전자는 점점 줄어들고 말 것이다. 그것은 진화적으로 안정된 전략이라고 볼 수 없다. 사자가 가젤을 만났을 때 가젤이 사자에 맞서 싸우기보다 도망가는 것은 그것이 진화적으로 안정된 전략이기 때문이다. 결국 사자나 가젤의 행..

좋은 글 2023. 3. 13. 14:21

리처드 도킨스가 말하는 이기적 유전자 1

다윈 진화론에 남겨진 과제 1859년 다윈의 《종의 기원》은 생물 진화의 원리를 밝힌 기념비적인 저서였다. 인간이 어디에서 왔고, 어디로 향하고 있는지 처음으로 자신을 이해할 수 있는 길이 열린 것이다. 그러나 다윈의 자연선택설이 생물의 모든 현상을 다 설명할 수 있었던 것은 아니다. 진화가 사실이라면 왜 중간 단계의 화석이 충분하지 않은가? 또 동물들은 생존 경쟁이라는 다윈 진화론의 대원칙에도 불구하고 왜 가끔 이타적인 행동을 보이는가? 이런 질문들은 다윈 진화론에 남겨진 과제였다. 특히 동물의 이타적 행동 양식은 적자생존과 생존 경쟁으로 말해지는 다윈 진화론에서 쉽게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었다. 우리는 사자에게 먹잇감으로 잡힌 물소를 동료 물소들이 힘을 모아 구출하려는 행동을 볼 수 있다. 꿀벌은 꿀 ..

좋은 글 2023. 3. 12. 16:1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해원상생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