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원상생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해원상생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312) N
    • 대순진리회 회보 (676) N
    • 언론속대순 (343) N
    • 좋은 글 (254)
    • 삶을 관조하다 (3)
    • 나의 사진첩 (5)
    • 일상 스케치 (11)
    • 여행 일기 (0)
    • 맛집여행 (7)
    • 이것저것 (2)
    • 건강상식 (9)

검색 레이어

해원상생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아내

  • 대순진리회 - 『일각문(一覺文)』

    2023.08.06 by 벼리맘1

  • 생각의 품격 2

    2023.08.01 by 벼리맘1

  • 대순진리회 - 『상제님의 발자취를 찾아서 (57)』

    2023.03.11 by 벼리맘1

  • 부족하지만 아름답게 살아가는 태도에 대하여 4

    2023.02.12 by 벼리맘1

대순진리회 - 『일각문(一覺文)』

소크라테스와 아내 글 - 대순진리회 여주본부도장 교무부 소크라테스는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이다. 그는 자신과 자기 근거에 대한 물음을 철학의 주제로 삼았다. 이런 의미에서 그는 내면(영혼의 차원) 철학의 시조라 할 수 있다. 전해 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소크라테스의 아내는 진짜 괴짜였다고 한다. 다른 남자라면 그런 여자와 단 하루도 살지 못할 것이다. 아내는 종종 소크라테스를 때리기도 했는데, 그런 때에도 소크라테스는 그냥 자리에 앉아 있곤 했다. 제자들이 거기에 대해 물으면 소크라테스는 이렇게 말하곤 했다. “그건 아내의 문제다. 아내가 화를 내는데 내가 무엇을 할 수 있겠는가? 그건 아내의 문제다. 스스로 고통 받는 것이다. 그런 고통과 분노 때문에 내게 짜증을 내는 것이다. 아내는 옆에 앉으면 나를 때..

대순진리회 회보 2023. 8. 6. 12:05

생각의 품격 2

혼자 사는 것보다 결혼해서 사는 게 낫고 자식이 아무리 애를 먹여도 없는 것보다 있는 것이 났다면 아내 때문에 자식 때문에 자신이 희생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된 것입니다. 나 자신을 더 힘들게 만들 뿐이지요. 오히려 아이들에게 항상 "고맙다." "너희가 있어서 내가 행복하다."고 말해 보세요. 아내에게도 "가끔 잔소리도 있지만, 당신이 있어서 내가 사는 재미가 있네." 라고 말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렇게 상대를 고맙게 여기면 가정이 화목해지고 저절로 좋은 아버지, 훌륭한 남편. 좋은 어머니, 훌륭한 엄마가 됩니다. 요즘에는 자식들이 장성한 뒤에도 자신의 인생을 희생하며 뒷바라지하는 부모들이 많은데요. 그러나 희생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결국에는 인생을 이렇게 살 필요가 있나 내가 왜 가정에..

좋은 글 2023. 8. 1. 13:58

대순진리회 - 『상제님의 발자취를 찾아서 (57)』

상제님에 대한 믿음을 방해한 아내의 운명 글 - 대순진리회 여주본부도장 대순종교문화연구소 1907[丁未]년 여름, 정읍의 여러 곳을 두루 다니시며 공사를 보시던 상제님께서는 정읍 교동(校洞)에 사는 황응종의 집에서도 여러 날 머무시며 공사를 시행하셨다. 하루는 상제님께서 산하(山河)의 대운을 거두어들이시는 공사를 행하셨는데, 밤에 백지로 고깔을 만들어 황응종에게 씌우시고 “자루에 든 벼를 끄집어내서 사방에 뿌리고, 백지 120장과 양지 4장에 글을 써서 식혜 속에 넣고 인적이 없을 때를 기다려 시궁 흙에 파묻은 후에 고깔을 쓴 그대로 세수하라.”고 명하시니 황응종은 그대로 시행하였다. 그랬더니 별안간 양 눈썹 사이에 콩알과 같은 사마귀가 생겼다. 황응종은 자고 아침에 일어나서 살펴보았더니 간밤에 사방에 ..

대순진리회 회보 2023. 3. 11. 16:08

부족하지만 아름답게 살아가는 태도에 대하여 4

그들이 다수의 아내를 거느린 주요 목적은 아내들이 다른 사람을 돌보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그렇다면 여자가 착취당한 걸까? 여자들은 언제든 자유롭게 이혼을 하고 다른 남자를 찾을 수 있었다. 혼자서 살 수도 있었다. 그들의 사회는 터부나 돈 때문에 참고 살아야 하는 사회가 아니었다. 그러면 성적으로 방종하게 되지 않을까 걱정되는가? 바로 이런 반사적인 반응이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우리 상상력의 부재를 증명한다. 기초적 생계가 보장되어 자유로워지면 사람들이 모조리 타락하고 일도 하지 않고 사회가 후퇴할 거라는 틀에서 좀처럼 벗어나지 못한다. 그렇다고 생계에서 자유로워졌을 때 누구나 자발적으로 훌륭한 삶을 산다는 이야기도 아니다. 그런 사람도 있고 아닌 사람들도 있다. 원주민들 역시 특별히 선하거나 악하지 않았..

좋은 글 2023. 2. 12. 15:53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해원상생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