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원상생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해원상생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204) N
    • 대순진리회 회보 (628) N
    • 언론속대순 (284)
    • 좋은 글 (254)
    • 삶을 관조하다 (3)
    • 나의 사진첩 (5)
    • 일상 스케치 (11)
    • 여행 일기 (0)
    • 맛집여행 (7)
    • 이것저것 (2)
    • 건강상식 (9)

검색 레이어

해원상생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좋은 글

  • 행복해지려면 다른 사람들과 지나치게 관계하지 말아야 한다 1

    2023.11.24 by 벼리맘1

  • 진실을 보지 못하는 그들의 생각을 바꾸는 방법 7

    2023.11.21 by 벼리맘1

  • 진실을 보지 못하는 그들의 생각을 바꾸는 방법 6

    2023.11.21 by 벼리맘1

  • 진실을 보지 못하는 그들의 생각을 바꾸는 방법 5

    2023.11.13 by 벼리맘1

  • 진실을 보지 못하는 그들의 생각을 바꾸는 방법 4

    2023.11.12 by 벼리맘1

  • 진실을 보지 못하는 그들의 생각을 바꾸는 방법 3

    2023.11.11 by 벼리맘1

  • 진실을 보지 못하는 그들의 생각을 바꾸는 방법 2

    2023.11.11 by 벼리맘1

  • 진실을 보지 못하는 그들의 생각을 바꾸는 방법 1

    2023.11.11 by 벼리맘1

행복해지려면 다른 사람들과 지나치게 관계하지 말아야 한다 1

김영하 작가는 한 방송에서 20대 시절을 술자리로 낭비한 것을 후회한다고 밝혔다. 그는 술자리만 아니었으면 그 시간을 아껴 낭만과 사색을 이어갔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우리의 생활도 목적 없는 약속과 술자리로 점철되어 있을 것이다. 실없는 농담과 찰나뿐인 위로 그리고 운동을 하지 못하는 생활 패턴으로 인해 우리의 몸은 빠른 속도로 산화되어간다. 만나는 사람만 만나는 갇힌 삶을 살다 보니 사유의 폭도 좁아져 갈 것이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위대한 저작과 활동 대부분은 고립된 생활을 통해 완성되었다. 정조가 세상을 떠나고 18년 동안 유배를 떠난 정약용은 그 시간에 오롯이 학문에 몰두해 조선 실학을 집대성했다. 손정의 회장은 시한부 판정을 받고 2년 동안 병상에서 독서와 사색을 거듭한 후에 자신의 경영철학을..

좋은 글 2023. 11. 24. 16:19

진실을 보지 못하는 그들의 생각을 바꾸는 방법 7

그것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경험으로 형성된 가정이며 시각 체계가 사실이어야 마땅하다고 여겨지는 무언가를 당신에게 제공하기 위해 한 거짓말이다. ​ 파스칼은 드레스 사진이 이와 동일한 현상이 드물게 일상적 상황에서 일어난 결과물이라고 생각했다. ​ 이 사진은 과다 노출로 찍힌 듯 배경이 하얗게 바래 보이고 이 때문에 드레스 색깔이 모호해졌다. ​ 그러자 사람들의 뇌는 '자신이 존재한다고 가정하는 광원의 효과를 감소시킴으로써' 그 모호함을 해소했으며 ​ 이 모든 과정은 자신도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일어났다. ​ 이 사진은 흐린 날 싸구려 휴대전화로 찍었으며 사진의 어떤 부분은 밝고 어떤 부분은 어둑하다. (···) ​ 파스칼은 사람들의 뇌가 조명의 모호함을 해소한 방식에 따라 뇌에서 인식한 색깔이 달랐던..

좋은 글 2023. 11. 21. 16:35

진실을 보지 못하는 그들의 생각을 바꾸는 방법 6

그런데 뇌는 거기서 더 나아간다. '상당한 불확실성'에 해당하는 상황을 만나면 뇌는 자신의 경험을 이용해 존재하지 않지만 '존재해야 마땅한 것'에 대한 환상을 만들어낸다. 다시 말해 새로운 상황을 만나면 뇌는 대개 자신이 보게 되리라고 예상하는 것을 본다. 신경과학자인 파스칼은 이런 현상이 색각色覺에서 뚜렷하게 확인된다고 설명했다. 우리는 스웨터가 어두운 옷장 안에 있는데도 초록색이라고 말하고 구름 낀 밤하늘 아래 있는 자동차를 파란색이라고 말한다. 이는 달라진 조명 조건이 익숙한 사물의 외양을 변화시키면 뇌가 스스로 사물의 색을 보정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조명이 달라지면 대상의 정체성을 보존하기 위해 광원의 효과를 감소시키고 색채 항등성을 확보하려고' 시각 체계를 재조정하는 보정 메커니즘을 갖추었다...

좋은 글 2023. 11. 21. 16:31

진실을 보지 못하는 그들의 생각을 바꾸는 방법 5

따라서 합의된 현실은 대개 물리적 위치가 만들어내는 결과다. 비슷한 환경에서 비슷한 이들을 접하며 자란 사람들의 뇌는 비슷한 경향이 있고, 따라서 비슷한 가상현실을 구성하곤 한다. 만일 그들의 의견이 충돌한다면 보통 추상적 관념이나 이론 때문이지 물리적 대상을 지각한 내용 때문은 아니다. 그런데 드레스 논쟁이 일어나자 모두가 혼란에 빠졌다. (···) 우리가 눈으로 본 대상에 대한 의견이 갈린다면 해당 이미지가 어떤 식으로든 모호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한 사람의 뇌와 다른 사람의 뇌는 각자의 방법으로 그 이미지의 모호함을 해소한다. 신경과학자인 파스칼은 이러한 해소가 일어나는 대표적 예로 개인 내면의 쌍안정 착시intrapersonal bistable visual illusion를 들었다. 뇌가 두 가지..

좋은 글 2023. 11. 13. 11:34

진실을 보지 못하는 그들의 생각을 바꾸는 방법 4

내면에 쌓인 패턴 중 어느 것과도 일치하지 않는 정보는 여전히 소음으로 인식된다. 뇌가 그것을 반복적으로 경험해야 비로소 의미 있는 정보가 되는 것이다. 앞서 언급한 수술을 받은 시각장애인이 사물의 형태와 색깔을 인지하는 과정처럼 말이다. 그리고 모든 현실은 주관적이기 때문에, 즉 각 동물은 자신이 지닌 감각을 통해 한정되는 움벨트에서 살기 때문에, 해당 동물에게 인지되지 않는 패턴은 그 동물의 내면 현실의 일부가 될 수 없다. 자외선을 감지하지 못하는 생명체는 자외선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모른 채 평생을 살 수 있다. 갯가재가 사는 세계는 인간이 눈으로 감지하거나 상상할 수 없는 색깔로 이뤄져 있다. 우리의 뇌는 두개골이라는 캄캄한 방에 갇혀 있어 절대 외부 세계를 직접 경험할 수 없다. 그러나 뇌 가소..

좋은 글 2023. 11. 12. 13:39

진실을 보지 못하는 그들의 생각을 바꾸는 방법 3

이들은 너무 오랫동안 소리 없는 세상에서 살아온 탓에 이따금 인공 와우 제거 수술을 받기도 한다. 소리는 없지만 자신이 관리할 수 있는 익숙한 현실로 돌아가는 쪽을 택하는 것이다. 뇌 입장에서는 처음엔 모든 것이 소음이다. 그러다 뇌가 소음에서 패턴을 알아채고 그다음엔 한 차원 높여 패턴들끼리 상호작용하는 패턴을 알아챈다. 그다음엔 또다시 한 차원 높여, 상호작용하는 패턴의 집합이 그런 다른 패턴들의 집합과 상호작용하는 패턴을 알아챈다. 이런 식으로 비교적 단순한 패턴 인식에 더 고차원적인 패턴 인식이 쌓인 결과, 뇌에는 외부 세계에서 무엇을 예상할 것인가에 관련된 대략적 그림이 형성된다. 패턴 사이의 상호작용은 우리가 원인과 결과를 인지하는 토대가 된다. 공의 둥근 모양, 탁자의 딱딱한 모서리, 인형의..

좋은 글 2023. 11. 11. 14:24

진실을 보지 못하는 그들의 생각을 바꾸는 방법 2

이런 관점을 확장할 경우, 동물이 저마다 다른 현실을 산다면 인간 역시 각자 다른 현실을 살 것이라는 추정이 가능해진다. (···) 아마 당신도 이런 종류의 문제를 마주친 적이 있을 것이다. 예컨대 "저 색깔이 우리 모두에게 똑같은 색깔로 보일까?"라는 의문을 품어본 적이 있지 않은가? 드레스 논쟁에서 알 수 있듯 그 답은 '아니다'이다. 주관적 현실과 객관적 현실이 같지 않다는 생각 즉 우리 내면의 현실은 외부 세계가 모종의 방식으로 재현된 것이며 외부 현실의 복제물이 아니라 하나의 내부 모형이라는 생각은 인간의 사고를 탐구하는 이들이 오래전부터 관심을 가진 주제였다. (···) 인도의 비영리단체에서 선천적 시각장애인의 백내장 수술을 시행하는 의사들은 사람에게서도 유사한 현상을 목격한다. 환자는 수술 ..

좋은 글 2023. 11. 11. 14:07

진실을 보지 못하는 그들의 생각을 바꾸는 방법 1

윅스퀼은 모든 생명체의 주관적 경험이 각자의 감각 세계로 한정된다면서 그 감각 세계를 '움벨트umwelt'라고 불렀다. 감각기관이 다르면 움벨트도 달라지며 같은 환경에 살아도 동물마다 움벨트가 다르다는 것이다. 따라서 각 생명체는 전체 그림의 일부만 인식하고 거기에 맞춰 살아가면서 그 사실을 인지하지 못한다고 윅스퀼은 말했다. 어떤 생명체도 객관적 현실 전체를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각각의 동물은 자신이 인식하는 것이 인식 가능한 대상의 전부라고 가정할 가능성이 크다. 어떤 생명체도 객관적 현실 전체를 경험할 수 없다. 그들 각각의 움벨트는 각자의 생태 환경에 따른 주관적 경험으로 이뤄진 세계이자 지각적으로 경계 지워진 내적 세계다. 지구상 모든 생명체의 움벨트는 공존은 하되 서로 겹치지 않는 수많은 감..

좋은 글 2023. 11. 11. 12:07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5 6 7 ··· 32
다음
TISTORY
해원상생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